Loading...

응용 특성에 따른 Network Reprogramming 정책 개발

ETRI - 개발기간 (2009.10.1 ~ 2010.3.31)

 

1. 연구목표

 응용 특성에 따른 에너지 효율적인 network reprogramming 방법        

     

2. 연구배경

 일반적으로 센서 네트워크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설치 및 동작을 가정하고 있으며, 특히 접근이 어려운 환경이나 광범위한 지역을 가정하기도 한다. 그러므로, 대부분의 센서 네트워크는 설치 후 별도의 접근 없이 장시간 동안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. 네트워크 설치 후 응용 프로그램의 수정, 사용자의 요구 변화, 네트워크 동작 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해 네트워크 유지 및 관리와 관련한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 가능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.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지 및 관리는 센서 노드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갱신함으로써 수행된다. 그런데, 관리자가 각 노드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개별적으로 갱신하는 것은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며, 어떤 경우에는 노드에 접근할 수 없을 수도 있다. 그러므로 무선 통신 매체를 이용한 비접근적인 관리 방안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한 재프로그래밍 기법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.

     

3. 연구 내용

  기존의 제안된 기법들은 재프로그래밍 과정에서의 에너지 효율성 및 소요 시간 측면만을 고려하였다. 그러나 센서 네트워크에는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응용들이 공존할 수 있으며, 이들 응용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재프로그래밍 과정이 달라질 것이다. 따라서, 기존의 기법들은 각 기법들이 가정한 제한된 응용 혹은 환경에서만 효율적인 재프로그래밍을 수행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.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각 응용이 가질 수 있는 특성을 분류하고, 그에 적합한 재프로그래밍 기법들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기법들이 가지는 비효율성을 해결하고자 한다.

 

4. 기대효과

 응용 특성에 따른 재프로그래밍 방법은 각 응용이 가지는 시간적, 지역적 동작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재프로그래밍 방식을 취함으로써 응용의 특성에 최적화하여 코드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. 이러한 방식은 다수의 응용이 존재하는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재프로그래밍을 위한 제어 정보에 따른 오버헤드와 범람법(flooding)에 의한 불필요한 전송을 줄일 수 있으며, 그로 인한 에너지 및 대역폭 소비와 소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. 특히, 대부분의 센서 네트워크는 접근이 어려운 환경에 설치될 것으로 예상되며, 이러한 환경에서 네트워크 및 응용을 관리하기 위해 재프로그래밍이 빈번하게 발생될 것이다. 제한된 에너지원으로 장시간 동작해야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재프로그래밍 방식 역시 높은 에너지 효율성을 필요로 하며,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응용 특성에 적응적인 재프로그래밍 정책을 사용하므로 기존의 방법에 비해 월등한 에너지 효율성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.



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
29 [Current Project] LG화학 여수 화학 단지 측위시스템 Pilot 구축 (2022.11.22 ~ 2022.12.31) 임바다 2022.12.15 43
28 [Current Project] 산학연 주관 미래도전국방기술 연구개발 (2022.11.25 ~ 2025.10.31) 임바다 2022.11.01 47
27 [Current Project] 교통약자를 위한 도시철도 역사내 맞춤형 스마트 내비게이션 개발 (2022.05.01~2023.12.31) file 배한준 2022.07.25 183
26 [Current Project] 디지털기반 건축시공 및 안전감리 기술개발 (2022.04.01~2026.12.31) 배한준 2022.07.25 89
25 [Current project] 위치기반 마케팅 플랫폼 개발을 위한 실내 측위 시스템 구축 (2021.08.13. ~ 2023.12.31) file 배한준 2021.09.14 214
24 [Past project] 2021 스마트 공장 안전 및 관제 시스템을 위한 지구 자기장 기반 실내측위 기술의 포스코 현장 성능 검증 (2021.02.01~2021.11.26) file 배한준 2021.09.14 154
23 [Past project] 2015 정보통신산업진흥원 (2015.06.01 ~ 2018.12.31) 배한준 2020.08.30 141
22 [Past project] 블록체인 기반 KU Mobile ID 체계 수립 및 구축 (2019.03.01~2021.12.31) 배한준 2020.07.16 336
21 [Past project] 장애인 실내 길안내 내비게이션 서비스 - 개발기간 (2020.07.01~2020.12.31) file 배한준 2020.07.16 657
20 [Past project] 실내 측위를 위한 저전력 웨어러블 소형 태그 보드 설계 및 시작품 제작 - 개발기간 (2019.06.01 ~ 2020.08.31) file 배한준 2020.07.16 182
19 [Past project] 스마트키를 위한 비콘 신호 filtering 및 RSSI 기반 위치인식 file 배한준 2019.02.20 3201
18 [Past project] 심화학습 기술을 사용한 자기장 기반 실내 위치인식 연구 - 한국 연구재단 - 개발기간 (2017.03.01 ~ 2020.02.28) 관리자 2017.05.06 953
17 [Past project] IoT 기반 스마트 빌딩 이동 솔루션을 위한 실내 위치인식 기술 개발 - 현대엘리베이터 - (2016-08-01 ~ 2017-12-31) 관리자 2017.05.06 1577
16 [Past project] 미래창조과학부 정보통신기술인력양성사업 - 세이프 웰빙을 위한 IoT 기반 스마트 웨어러블 SW 기술개발 - 정보통신산업진흥원 - 개발기간 (2015.06.01 ~ 2020.12.31 ) 관리자 2017.05.06 754
15 [Past project] 미래창조과학부 X-프로젝트 X문제 해결 연구 - 15. 사물인터넷을 전염병 예방과 확산 방지에 어떻게 활용할까? (2015.12.1 ~ 2016.12.1) 관리자 2017.05.06 438
14 [Past project] IT/SW 창의연구과정(기술개발형) -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손가락 부착형 3차원 동작 및 필기 입력 시스템 개발 - 정보통신산업진흥원 - 개발기간 (2013.05.01 ~ 2014.04.30 ) 관리자 2017.05.06 552
13 [Past project] 그린인프라와 그린웨어 기반의 차세대 IDC 테스트베드 구축 - 한국한국IT서비스산업협회 - 개발기간( 2010. 3. 1 ~ 2014. 2. 28 ) 관리자 2017.05.06 399
12 [Past project] RF 태그 기반의 무청취, 무지연 특성을 갖는 비동기식 무선 센서 네트워크 연구 - 한국연구재단 - 개발기간( 2010. 5. 1 ~ 2013. 4. 30 ) 관리자 2017.05.06 221
11 [Past project] 모바일 환경을 위한 UBIFS 안정성 검증 - 삼성전자 - 정형기법을 활용한 UBIFS 안정성 검증 (2009.9.1 ~ 2009.12.31 ) 관리자 2017.05.06 606
» [Past project] 응용 특성에 따른 Network Reprogramming 정책 - ETRI - 개발기간 (2009.10.1 ~ 2010.3.31) 관리자 2017.05.06 169

LOGIN

SEARCH

MENU NAVIGATION